에라토스테네스의체
![[코드업] 3071. 구간에서의 소수 찾기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bknIXP%2FbtrYieGn017%2FAAAAAAAAAAAAAAAAAAAAAKAS29yGQ66MCzS70Z-cHJO5bgOwPKKmSdjt1HQYXjB4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6652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vy6vKk6SaCdTQ%252BGd8FoRGPTbB8A%253D)
[코드업] 3071. 구간에서의 소수 찾기
문제 설명 문제풀이 KEY POINT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사용한 문제였다.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알고리즘이란? 1. 2부터 N까지 모든 자연수 나열 후 전체 True처리 2. 남은 수 중에서 아직 처리하지 않은 가장 작은 수 (i) 찾음 3. 남은 수 중에서 i의 배수를 모두 False 처리 4. 반복할 수 없을 때까지 2,3번 과정 반복 위 과정으로 진행되는 알고리즘으로, 배열 내 소수 찾기에 주로 사용된다. import math n = 1000 # 2부터 1,000까지의 모든 수에 대하여 소수 판별 array = [True for i in range(n + 1)] # 처음엔 모든 수가 소수(True)인 것으로 초기화 #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알고리즘 for i in range(2, int(math.sq..